반응형

인간 삶에 있어 수면은 중요한 욕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면은 하루 24시간 중 1/3을 차지할 만큼 인간 생활에 있어서 다른 어떤 행동보다도 생명 유지 및 인간 생활에 중요한 특성을 가지며 수면량에 있어 평균 성인의 수면 요구량은 약 8.5시간이며 한국의 정상 성인은 하루 약 7~7.5시간의 수면을 취한다는 보고가 있고 운동선수도 예외가 아니며 운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수면의 역할은 심신의 피로 해소 기억 학습 성장 수명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면의 생리학적 기능으로는 중추신경계의 회복과정이나 휴식 상태를 제공하고 수면은 낮 시간 동안의 활동에 대한 에너지의 재 보충과 보존 과정 등에 기여를 하지만 불규칙한 수면 습관과 불안 스트레스 과로 과다운동 시차 등은 송과체와 내분비계의 장애로 불면증이나 과수면을 유발하고 이는 일반인뿐만 아니라 과도한 훈련을 시행하는 운동선수들에게도 중요한 시합 해외 원정경기는 물론 지나친 피로 상태 승패의 부담감 시차 적응의 문제를 야기하여 수면의 질과 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옴으로써 졸음 피로감 집중력 감퇴 공격성 활동성 감소와 기분의 변화 등 정신적 생리적 기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수면 연구의 시초는 1960년대 Baekeland과 Lasky Hobson등에 의해 뇌파의 전위를 이용하여 각성 수준과 비 각성 수준을 구분하면서 수면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어 1970년대에는 수면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활성에 대한 세포 간의 전달과 관여된 분자 차원의 관점에서 수면에 대한 중요한 개념들을 설명하였습니다

 

이후 건강 생체리듬 대사 반응 경기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최근에는 수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수면 중 배고픔과 포만감을 조절하는 ghrelin leptin 호르몬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운동과 수면 조건에 대한 상호 연구로서 운동 강도 운동시간에 대한 수면 효과 수면 장애와 수행력 멜라토닌과 수면 효과 그리고 수면이 일상 활동 중에 생산해낸 독성 화학물질들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까지 제시되기도 하였으며 수면에 대한 중요성은 일상적인 사람에게서 수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스포츠계에서도 수면이 생리적으로나 운동 수행력 및 경기력과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어 운동 수행력과 수면의 관계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만일 경기 전일에 수면의 질과 양이 부족하였을 경우 피로감과 함께 최고의 기량을 펼치기에는 힘들 것이며 그래서 Skeinetal와 Azboy& Kaygisiz은 전문 운동선수들이 수면 부족 현상이 나타났을 시 피로감이 증가하여 지각 능력과 운동능력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고 하였으며 수면 장애에 관한 연구는 큰 의미로 2가지로 분류되고 있는데 첫째는 자연적인 수면 장애 즉 불면증 숙면 시차에 대한 운동이나 약물의 효과이고 둘째는 인위적인 수면 장애 즉 수면 박탈이나 수면을 제한하여 인체 반응 및 경기력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면박탈의 방법에는 완전 수면 박탈 법 선택적 수면 박탈 법 부분적 수면 박탈 법 등이 그러한 것들로서 발생하는 수면 구조와 심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사용되어 왔고 수면 박탈의 선행연구로는 공포에 대한 REM 수면의 메커니즘을 비롯한 전두엽 피질에 대한 뉴런의 연구 수면 부족으로 인한 항우울증에 대한 유전자의 관계 수면에 따른 에너지 소비 등 현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규일 등은 수면 박탈이 주간 졸음 및 피로감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면 박탈로 인해 안전사고 혹은 자동차사고 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며, 스포츠의 경우도 운동선수들은 해외 원정경기의 시차 적응과 경기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경기에 대한 중압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수면이 박탈되면 경기의 집중력 저하와 생체리듬의 불균형을 초래해 경기력의 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은희관에 따르면 인위적인 수면 박탈을 유도한 연구에서 수면 부족으로 인한 고강도 운동 시 부분적이지만 면역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Matzner 또한 수면 부족으로 인해 상태 불안과 심리적인 불안 수준이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특히나 수면 박탈로 인한 스트레스는 구광수에 의하면 인위적인 시간대별 수면 박탈은 생체리듬의 급격한 불균형과 최대 운동에 대한 높은 주관적 피로감 그리고 안정 시 혈중 Epinephrine농도가 신체적으로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만든다고 보고 하였으며 이러한 수면 장애로 인하여 인체가 신체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 Catecholamine β-endorphin Corticosterone 등의 호르몬이 분비되고 분비된 스트레스 호르몬은 심리적인 억압 불안 공포 두려움 등의 자가 방어적인 자극으로 운동 자극과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피부 상위 호흡 점막 조직 폐 혈액 근육 등 인체의 여러 부분에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신적 스트레스 영양부족 체중감소 등 감염의 위험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출처-Pixabay

결론적으로 수면박탈 후에 카페인 섭취는 주의 집중력 테스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았고 그룹 간 거리별 기록 중 50M 기록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룹 간 심박수의 차이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스트레스 호르몬 중 코르티솔의 변화에서 주 효과 그룹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상호작용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역기능에서는 TNFα와 IL-6의 변화에서 수면 박탈 후 카페인 섭취보다 중·저강도 운동과 시간에 대한 보상효과로 면역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면 박탈 후 카페인 섭취는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로서 경기력에 도움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니 잠을 잘 자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