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관련 호흡 장애란 단순 코골이부터 상기도 저항 증후군을 포함해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까지 포함하는 수면장애 질환이며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수면 관련 호흡 장애 중에 가장 흔하고 전체 인구의 1~2%에서 발생하고 남성의 4% 여성의 2%에서 발생하는데 주로 중년 이후의 남성에서 자주 생기며 여성은 폐경기 이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등 반복적 기도폐쇄 호흡기류 감소 수면 중단 과도한 졸림 두통 등 다양한 주간 수면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며 부정맥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을 동반하기도 하고 호흡기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또한 정신신경 학적으로 주간 기면증 인지능력 장애 역행성 기억상실 공격적 성격 불안 우울 등이 올 수 있습니다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은 증상 자체도 중요하지만 여러 동반 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점에서 좀 더 넓은 관점으로 질병을 다루어야 하는데 특히 정신신경학적 증상은 객관적인 신체적 증상이 호전된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에 수면 관련 호흡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심리 반응 척도들을 분석하여 수면장애가 환자의 정신의학적 증상과 연관성이 있는지 조사하고 수면 관련 호흡 장애 환자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에 도움을 주고자 OSA 군과 대조군에서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정신 심리학적 반응의 특성을 비교하고 임상 척도와 수면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먼저 수면다원검사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OSA 군은 각성이 많아 수면이 단절되고 그로 인한 깊은 서파수면과 렘수면의 저하를 보였으며 교감신경의 흥분 등으로 인한 수면장애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각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산소포화도의 감소로 인한 호흡중추 자극이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간이정신진단검사 결과상 현재의 정신의학적 장애의 정도와 심도를 의미하는 전체 심도지수 척도가 OSA 군에서 대조군보다 높다는 사실은 OSA 환자들이 정신의학적 증상들을 더 많이 호소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OSA군의 신체화 강박증 우울증 불안증 척도의 평균 점수가 대조군보다 OSA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다면적 인성검사를 사용하여 우울증 정신 분열증 건강염려증 척도 등의 증가가 수면 관련 호흡 장애에서 두드러진다는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수면 관련 호흡 장애가 우울증을 비롯한 여러 정신의학적 증상을 야기할 수 있음을 뒷받침하며 다면적 인성검사와 간이정신진단검사를 비교해보면 간이정신진단검사는 90문항으로 구성된 심리검사로서 시행하는데 10분 정도가 소요되며 채점도 간단하고 비용도 얼마 되지 않지만 다면적 인성검사는 566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로서 검사 대상자의 수준에 따라 40-120분 정도가 소요되며 채점도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드는 심리검사인 관계로 이러한 실용도가 높은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채택하여 연구에 이용하였고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서는 우울증이 수면 관련 호흡 장애에서 가장 잘 일어나는 정신의학적 증상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간이정신진단 검사상 신체화 증상 척도가 다른 정신의학적 증상보다 더 심각하게 나타났습니다
수면 관련 호흡 장애와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결과를 고찰해보면 이는 OSA 군의 신경증적 특성이 사소한 기능장애에도 과민반응을 나타내고 장기간에 걸쳐 신체적 관심의 과다를 특징으로 함을 시사하기도 하고 또한 신체화 증상과 수면이 자율신경과 신경과민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런 이유로 수면 관련 호흡 장애에 따른 수면의 질적 저하가 신체적 과민성이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바 수면의 인지적 측면과의 관계에서 신체화 증상은 과도한걱정을 유발하며 부정적인 인지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된 연구가 있기에 이런 부정적 인지 특성이 신체 감각 및 증상과 관련된 인지력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신체화 증상 척도는 남녀그룹 간 분석에서 남성에서 두드러지는 결과를 보였는즉 일반적인 신체화 장애는 전체여성의 0.2%~2%에서 일어나고 전체남성의 0.2%보다 적게 일어납니다
수면 관련 호흡 장애 전반에 대해 진단시 증상이 심할수록 정신의학적 증상과의 관련성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며 그리고 가벼운 수면 관련 호흡 장애를 호소할지라도 초기 단계에서부터 전반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할 것이며 또한 남녀 사이에 주로 호소하는 정신의학적 증상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적절한 상담 및 아울러 향후 수면 관련 호흡 장애의 치료에 따른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점수 변화 및 치료하지 않았을 때의 장기적인 관찰 등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수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에 아주아주 특효인 개꿀 식품을 알려드릴까요? (0) | 2021.09.30 |
---|---|
Only수면시간만 채워져도 청소년은 건강할까? (0) | 2021.09.30 |
피곤하다고 잠만 자도 될까? (0) | 2021.09.30 |
나의 멘탈과 잠을 잘자는것은 관계가 있을까? (0) | 2021.09.29 |
수술후 고통 잠이 안오면 어떤 방법을 써야할까요?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