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헌혈하고 나면 조혈모세포 기증에 대한 것을 꼭 물어보고 그로 인해서 전화를 받은 경험이 두 번 세 번 정도 있는데 그 과정에서 이야기를 들으면 진짜 환자분들은 생지옥에서 살고 있다는 생각에 건강에 대해 엄청나게 생각하게 되며 있는 건강을 지켜야겠다고 생각이 드는바 환자들의 수면은 어떨까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혈액 종양은 조혈 과정에서 조혈모세포의 분화가 정지되거나 비정상적인 증식이 발생하는 악성 혈액질환으로 백혈병 악성림프종 골수이형성 증후군 및 다발성 골수종 등을 포함하며 혈액 종양은 비록 호발암은 아니지만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혈액 종양의 발생률은 미국에서 매년 인구 10만 명당 40.1명 우리나라에서는 19.1명으로 199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항암 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 이식의 발달로 혈액 종양의 치료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5년 상대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전체 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이 70.3%인데 비하면 혈액 종양의 생존율은 낮고 그중 호지킨 림프종의 생존율은 80.6%, 비호지킨 림프종 69.1%로 비슷하지만 다발성 골수종 40.1% 및 백혈병은 51.1%에 불과하며 혈액 종양은 다른 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치료과정 이후의 새로운 삶이나 사회적 복귀에 대한 바람이 크기 때문에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고 혈액질환의 특성상 혈액 종양은 진행이 빠르고 재발이 흔하여 진단 당시부터 고용량의 항암치료 및 조혈모세포 이식과 같은 적극적인 집중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혈액종양 환자는 질병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양하고 장기간의 입원이 요구되는 매우 소모적인 치료과정을 겪으며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는 무균병실에 입원하여 감염 예방과 안전한 생착을 위해 집중적인 치료를 받게 되는데 이때 환자는 감염 출혈 오심 구토 통증 피로 우울 불안 등 다양한 신체적․정서적 증상을 경험하며 또한 퇴원 이후 일상생활로 돌아가서도 지속적으로 추후 자기관리를 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고 조혈모세포 이식은 국내에서 1983년 첫 시작으로 전국 각 병원에서 2015년까지 26,064건의 조혈모세포 이식이 시행되었는데 이중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이 11,197건 형제간은 7,876건 동종은 5,070건 반 일지 이식이 1,257건이 시행되었고 매년 이식 건수가 증가하고 이식 생존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의 생존율에만 집중되어 있던 관심이 점점 이식 후 생존자 삶의 질로 관심이 변화되고 있고 이에 암 환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함께 환자에게 충족되어야 할 교육요구를 포함한 심리사회적 요구를 확인하는 것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도 높아졌습니다

 

점차 환자 중심 간호의 측면에서 환자의 지지간호요구를 충족해주는 것이 더욱 필요하고 주의 깊은 환자의 지지 요구 파악은 환자관리의 결정적인 요소로서 적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이끌어주고 지지적 관리는 암 환자가 진단 및 치료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어려움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 최적의 안녕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활동이나 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과정에서 고용량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을 받는 혈액 종양 환자는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부작용을 경험하게 되므로 환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처럼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 대한 깊은 관심과 연구가 필수적이고 과거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희망 정도 조혈모세포 이식 단계별 수면장애 요인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통증 구토 및 정서 상태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증상 경험과 삶의 질 조혈모세포 이식 후 시기별 신체 증상 불안 우울 및 영적 안녕 등으로 주로 이식 중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과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왔으며 지지 간호 요구 관련 연구는 측정도구 개발이 있었고 암종 별로 폐암 림프종 식도암 혈액암 부인암에서 시행되었고 이중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정아랑의 연구에서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가 소수 포함되어 있었으나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만을 대상으로 지지적 간호 요구를 조사한 연구는 드물었습니다

출처-Pixabay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혈액 종양 환자의 지지간호요구를 파악하고 지지 간호 요구의 예측 요인을 규명하여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요구에 적합한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 증상 경험 삶의 질 수면의 질 지지 간호 요구의 관계에서 증상 중증도가 심할수록 일상생활 방해가 높아지고 지지 간호 요구가 증가하며 수면의 질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방해 정도가 심할수록 지지 간호 요구는 높아지고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상자의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지지 간호 요구는 증가하고 삶의 질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지 간호 요구 중 심리적 요구 건강관리체계 및 정보 요구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에서 양의 관련성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지지 간호 요구는 심리적 요구에서 수입 건강관리체계 및 정보 요구에서는 성별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에서는 수입 성적 요구에서는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환자 간호 및 지지 간호 요구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수면의 상태에 따른 각 변수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증상 경험이 심할수록 수면장애가 발생하였고 수면의 질이 낮아지면 일상생활 방해 정도가 증가하였고 삶의 질에서는 하위 영역 중 신체적 기능과 통증 영역이 수면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면의 질이 좋을수록 신체적 삶의 질이 상승하였으나 정신적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지지간호요구에서는 수면의 질이 낮은 군이 신체 및 일상생활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환자가 아프다고 잠자는 것에 대해 문제가 있을 수도 있기야 하겠지만 결국 그것보다는 잘 못 자는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보입니다.

+ Recent posts